오대명왕-사천왕 새겨진 금강령 황홀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8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 도봉서원 터서 고려 불교유물 77점 발굴

1000년의 베일 벗고… 서울 도봉서원 터에서 발굴된 금동제 금강령. 불교의식에 쓰는 금강령은 12세기 중반 이전 제작된 것으로 제작기법이 우수하고 보존 상태가 뛰어나 국보급 지정 가능성이 높다. 오대명왕상과 사천왕상이 함께 새겨진 금강령은 중국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어 고려에서 자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길이 19.5cm, 무게 621.8g.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1000년의 베일 벗고… 서울 도봉서원 터에서 발굴된 금동제 금강령. 불교의식에 쓰는 금강령은 12세기 중반 이전 제작된 것으로 제작기법이 우수하고 보존 상태가 뛰어나 국보급 지정 가능성이 높다. 오대명왕상과 사천왕상이 함께 새겨진 금강령은 중국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어 고려에서 자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길이 19.5cm, 무게 621.8g.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1000년 가까운 세월을 컴컴한 어둠 속에서 머물렀지만 빛을 잃지 않았다.

정암 조광조를 추존하기 위해 세운 서울 도봉서원 사당터에서 출토된 금동제 금강령(金剛鈴)은 은은한 광이 났다.

12세기 중반 이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강령은 고려시대 금속공예의 정수를 품고 있었다. 몸체부(部)에 부조된 오대명왕상(五大明王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은 종이 위에 스케치한 것처럼 정교했다. 오대명왕 중 하나인 오추사마명왕의 몸을 휘감은 뱀의 똬리, 사천왕이 든 칼과 활은 생동감 넘쳤다. 손잡이에는 단아한 연꽃잎이, 고부(고部)에는 역동적으로 다섯 갈래로 뻗은 번개가 있다. 종을 울리는 잉어 모양의 탁설(鐸舌)의 비늘과 지느러미도 선명했다.

문화재청이 21일 공개한 고려시대 불교유물 77점은 2012년 9월 도봉서원 복원정비 작업 중 발견됐다. 불교 의식에 쓰이는 일종의 종인 금강령과 번뇌를 쫓을 때 쓰이는 방망이인 금강저(金剛杵)를 비롯해 청동제 뚜껑항아리와 뚜껑합, 향로, 발우, 숟가락, 대접 등이 거적때기로 감싼 커다란 청동솥 안에 들어 있었다. 문화재청은 도봉서원 터에 있던 옛 영국사(寧國寺)를 창건할 때 부처에게 공양하기 위해 대웅전 기단 아래 묻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금강령은 고부가 파손된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보물 제176호)보다 보존 상태와 제작 기법이 뛰어나 국보로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

주경미 문화재청 전문위원은 “지금까지 발견된 금강령 중 가장 제작기법이 뛰어나고 보존 상태도 우수하다”며 “오대명왕과 사천왕이 한꺼번에 새겨진 금강령은 중국 일본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어서 고려시대에 자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
#오대명왕#사천왕#금강령#불교유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