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숨져 가는데 실력이…” 제자 일으켜세운 이국종 교수의 한마디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6일 17시 58분


코멘트
아주대병원 ‘이국종 키드’ 박지예 의사.
아주대병원 ‘이국종 키드’ 박지예 의사.
권역외상센터는 외과 의사가 기피하는 근무지다. 치료하기가 어려운 중증외상 환자가 몰리는 데다 만성적인 인력 부족으로 업무 강도가 상상을 초월하는 탓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까다로운 환자가 몰리는 경기 수원시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당당히 도전장을 낸 새내기 임상강사(펠로)가 있다. 외과 지원자가 점차 줄어드는 세태 속에서 지난 5년간 이국종 외상외과 교수를 비롯한 아주대병원 의료진의 가르침을 받고 올해 3월부터 정식 임용될 박지예 씨(32·여)가 그 주인공이다.

3일 아주대병원에서 만난 박 씨는 체격은 깡마르고 눈 밑엔 다크서클이 짙었다. 그는 “전공의(레지던트) 4년을 거치며 살이 5㎏ 정도 빠졌다”며 웃었다. 날카롭게 보일 수도 있는 첫인상과 달리 동료 의료진은 박 씨를 ‘털털이’라고 부른다. 임상현 흉부외과 교수는 “고된 트레이닝을 꿋꿋이 버텨준 멘털(마음가짐)이 좋은 제자”라고 평했다.

박 씨는 2007년 연세대 의대에 입학했다. 수업 중 중증외상 환자의 응급수술을 참관하고 강렬한 인상을 받아 중증외상 치료에 관심을 갖게 됐고 2014년 “외상 치료를 가장 제대로 배울 수 있는 곳”이라는 주위의 권유에 아주대병원 수련의(인턴)로 지원했다. 이국종 교수는 “외과를 선택하는 의대생을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였던 상황에서 박 선생이 너무 기특하고 고마웠다”고 회상했다. 이 교수와 임 교수는 박 씨가 2015년 흉부외과 레지던트 생활을 시작하자 특별히 외상센터 파견 과정을 신설해 주기까지 했다.

박 씨를 설레게 했던 순간은 몸의 형체가 온전히 남은 게 거의 없을 정도로 크게 다친 환자의 숨을 다시 돌려놓을 때다. 고층에서 떨어져 골반이 부서졌던 40대 여성, 폐가 제 기능을 못 했던 50대 남성…. 수술이 고될수록 환자가 말짱하게 회복해 퇴원할 때의 보람은 더 컸다.

그랬던 박 씨도 3년 전 중증외상 치료의 길을 포기할 뻔했다. 눈앞에서 환자들이 숨져 가는데 자신의 실력은 늘지 않는 것 같은 좌절감 때문이었다. 그때 마음을 다잡아준 이가 이국종 교수였다. 이 교수는 권역외상센터 옥상에 새로 생긴 헬기장으로 박 씨를 데려가 “우리 외상팀이 포기했다면 이 헬기장은 끝내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격려했다. 박 씨가 상처 봉합을 어려워하자 이 교수 자신이 레지던트 시절에 익혔던 요령을 손수 가르쳐 주기도 했다.

인터뷰 내내 “나는 아직 서툴다. 한참 멀었다”며 한숨을 쉬던 박 씨는 “코드 블루(심정지 환자 발생을 뜻함)”라는 의료진 호출 방송이 나오자 돌연 말을 멈추고 집중했다. 그 순간 ‘털털이’ 박 씨의 눈은 날카롭게 변해 있었다.

인력난에 외과전공의 충원율 78%▼

올해 전국 수련병원 81곳에 지원한 외과 및 흉부외과 전공의(레지던트)가 정원보다 50명이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외과 및 흉부외과에서 레지던트 지원자가 176명으로 정원(226명) 대비 충원율이 77.9%에 그쳤다고 6일 밝혔다. 이 비율은 2017년 83.9%, 지난해 83.1%에 이어 계속 줄어들고 있다. 정부가 외과 전공의의 수련기간을 4년에서 3년으로 단축해 주기로 했지만 효과가 별로 없었다. 밤낮없이 어려운 수술을 맡아야 하는 데다 대형병원에서 퇴직하고 나면 갈 곳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중증외상 환자를 최일선에서 치료하는 권역외상센터의 인력난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국 권역외상센터 9곳 중 필수과목(외과, 흉부·정형·신경외과) 전담의를 모두 정원대로 갖춘 곳은 1곳도 없다. 아주대병원에선 1명뿐인 흉부외과 전담의가 지난 5년간 24시간 온콜(on-call·비상대기) 상태로 지냈다. 다른 병원에선 일반 병동의 전문의가 대신 권역외상센터 당직을 서고 다음 날 졸린 눈을 부비며 정규 수술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배금석 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장(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권역외상센터장)은 “권역외상센터 전담의의 인건비 지원액을 높이고 임상강사(펠로)에게 교수 신분을 약속해주는 등의 ‘당근’을 제시하지 않으면 10년 후엔 의사가 없어 응급 수술을 못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