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성민 작가 “1997년 힘든 시간 보낸 이들에게 당신 탓이 아니라는 위로 건네고 싶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2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시나리오 작가 엄성민이 말하는 ‘이 영화를 쓴 이유’

6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에서 만난 엄성민 작가는 “외환위기와 끝까지 싸워 보려 했던 사람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마음으로 시나리오를 썼다”고 말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6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에서 만난 엄성민 작가는 “외환위기와 끝까지 싸워 보려 했던 사람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마음으로 시나리오를 썼다”고 말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영화 ‘국가부도의 날’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전문사과정의 졸업 문집에 실린 엄성민 작가(33)의 시나리오에서 출발했다. 고려대 통계학과를 나온 엄 작가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영향을 받고 자란 세대로 그 시절을 다룬 영화를 쓰고 싶었고, 비공개대책팀에 대한 기사가 단서가 돼 집필하게 됐다”고 말했다. 엄 작가를 6일 만나 시나리오 탄생 과정을 들었다.

―외환위기를 소재로 시나리오를 쓴 구체적인 계기가 있나?

“10대 때 외환위기를 겪었다. 아버지도 ‘우리 경제는 위기가 없다’는 정부 말을 믿고 사업을 하다 고생하셨다. IMF 때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자책하는 사람들에게 당신 탓이 아니라는 위로를 건네고 싶었다.”

―취재에 활용한 자료는 무엇인가?

“환란 특위의 국정조사 보고서,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낸 ‘IMF사태의 원인과 교훈’ 등 경제연구소 저서와 개인의 수기, 1997년 1월부터 11월까지 일간지 기사 등 가능한 한 많은 기록을 찾았다. 기업인이 이사와 이사회를 구분하지 못하는 장면은 은행원 수기에서, 금융맨 윤정학이 ‘여성시대’ 라디오 엽서로 프레젠테이션하는 장면은 손숙 씨가 인터뷰에서 ‘외환위기 직전 경제 사정이 나쁘다는 사연이 이상하게 많았다’고 밝힌 내용을 참고했다.”

―직접 취재도 했나?

“사업에 실패한 분들을 만났다. 이 과정에서 “아무도 믿지 마”라는 갑수의 마지막 대사가 나왔다. 초고를 완성한 후 영화사에서 전문가에게 자문했다.”

―영화에 다양한 층위의 인물을 등장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모두의 아픔을 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위기를 막으려고 했던 인물(한시현)을 가장 먼저 설정하고 위기에 투자하는 인물(윤정학), 위기를 모르고 어려운 선택을 한 사람(갑수)을 세팅했다.”

―재정국 차관(조우진)은 캐릭터가 단편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렇게 볼 수 있다. 다만 환란 특위 보고서와 당시 언론의 경제팀에 대한 지탄의 수준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국민적 공분과 안타까움을 영화에 담기 위한 것이지, 특정인을 악마화하려 의도한 것이 아니다.”

―한시현을 여성으로 설정한 것이 주목받았다.

“한시현은 철저히 영화적 상상력에서 나온 캐릭터다. 모두가 경제는 튼튼하다고 할 때 소수의견을 내야 하니 보편성을 벗어난 인물이라 생각했고, 그 결과 자연스레 여성이 됐다.”

―개봉 시점이 묘하다.

“학생 졸업 작품이다(웃음). 영화로 만들어질지 몰랐고 개봉 시점도 예측하지 못했다. 사실 1997년에 어떤 일이 있었나보다는 다시 아픔이 없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논의가 됐으면 좋겠다.”

―이야기의 흐름이 막힐 때 어떻게 돌파했나?

“어두웠던 분위기를 느끼려고 사진이나 다큐멘터리를 찾아 봤다. 음식점에서 가격 할인을 한 백반 메뉴를 ‘캉드쉬 정식’으로 내놓은 사진이나, 사정이 어려워진 부모가 버린 ‘IMF 고아’ 이야기를 봤다. 아픔을 공감하려 했다.”

―영화 개봉 후 소감이 어떤가?

“시간 나면 매일 영화관에 가서 반응을 듣는데 관객 대부분이 자신의 기억을 이야기한다. 그 이야기들을 통해 다시 배우고 있고, 다음 작품도 현실에 뿌리내린 이야기로 준비 중이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국가부도의 날#영화#외환위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