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재산 93억원, ‘소액주주 권리 찾기’ 힘써 왔는데…

  • 동아닷컴
  • 입력 2017년 8월 25일 09시 56분


코멘트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청와대 참모진들 가운데 가장 많은 93억1962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25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재산등록사항(5월30일 기준)에 따르면, 장 실장은 본인 소유 주식 규모가 47억 가량 되고, 배우자의 주식 보유 금액은 6억2963만원이다. 예금은 장 실장 본인이 2억8000만원, 배우자가 18억7000여만원을 갖고 있다. 부동산은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주거용 아파트(11억원)와 경기도 가평군의 단독주택(1억9800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부터 국내 최초로 소액주주 권리 찾기 운동에 나서고, 재벌중심 한국경제 비판에 목소리를 내며 ‘재벌 저격수’ 로 불려온 그는 청와대 참모가 된 후 주식보유 내역이 알려지며 따가운 시선을 받기도 했다.


장 실장은 청와대 정책실장에 임명된 후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보유 주식을 매각했는데, 특히 CJ E&M 10억4077만원, LG생활건강 3억9750만원, 네이버 3억7002만원, 엔씨소프트 3억6316만원 등의 대기업 주식을 많이 들고 있었다. 배우자도 삼성전자(2억7468만원), 아모레퍼시픽(1억2740만원) 등 19곳의 주식 6억1812만원어치를 매각했다.

장 실장이 이처럼 많은 주식을 갖고 있던 것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반대로 이는 그가 힘써온 기업 지배 구조 개선과 소액주주 운동에 필요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주식을 갖고 있으면 주주총회에 참석할 수 있어 소액주주 운동을 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장 실장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과 함께 소액주주운동을 펼쳐온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참여연대 경제민주화위원장을 맡은 이듬해인 1998년 국내 최초로 소액주주 권리 찾기 운동에 나섰다. 소액주주가 거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당시 소액주주들을 규합해 주주총회에서 경영진을 향해 지배구조 개선을 압박하는 방식은 파격적이었다. 2006년에는 일명 '장하성펀드'를 만들어 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직접 나섰다. 장하성펀드로 불린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KCGF)는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지닌 기업의 주식을 사들여 개선을 요구하고 기업가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하지만 장 실장과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기업 지배 구조 개선 활동을 펼쳐 온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삼성전자·삼성화재·현대차·삼성증권·포스코(이상 1주) 등 다양한 주식을 갖고 있었지만 보유 총액은 800만원에 불과해 대조를 이룬다.

장 실장은 2005년 고려대 경영대학장을 맡으면서 재벌에 다소 온건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당시 그는 고려대 출신 기업인들에게 기부를 독려하며 친분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2006년 한 인터뷰에서는 "10년간 기업인을 만나며 생각이 달라졌다"며 "기업의 현실을 이해하게 됐다"고 밝혔다.

2012년 안철수 캠프에 합류했을 때에는 '재벌들의 저승사자'라는 평에 대해 "전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재벌 동반자'라 불러달라"며 "재벌은 개혁과 개선의 대상이지 극단적으로 재벌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장 실장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