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범죄 패턴 분석… ‘생활형 범죄’ 예방한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사회가 불안하다고 느끼는 가장 큰 요인으로 범죄 발생에 대한 걱정(29.7%)을 꼽았다. 대다수의 사건 사고는 일상생활 주변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경찰청은 과학 기술을 이용해 생활형 범죄를 예방하고 대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Flickr 제공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사회가 불안하다고 느끼는 가장 큰 요인으로 범죄 발생에 대한 걱정(29.7%)을 꼽았다. 대다수의 사건 사고는 일상생활 주변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경찰청은 과학 기술을 이용해 생활형 범죄를 예방하고 대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Flickr 제공
# “이제 탑골공원으로 갑시다.” 오후 7시, 서울 종로 일대를 순찰하던 경찰관들이 스마트폰을 본 뒤 ‘탑골공원’으로 경로를 정했다. 경찰관 스마트폰에는 ‘폴리스랩(Police Lab)’이 개발한 범죄 및 사건 정보 분석 애플리케이션(앱)이 깔려 있다. 앱은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시간쯤 탑골공원 주변에 길을 잃고 헤매는 치매 노인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줬다. 경찰관은 정말 길을 잃은 노인을 발견했다. 명함 크기의 카드에 노인의 손가락을 올려 지문을 채취하고 스마트폰으로 촬영했다. 5분 뒤 신원을 확인한 경찰은 노인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경찰도 변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경찰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경찰청은 내년 폴리스랩을 출범시키기로 했다. 치안을 뜻하는 폴리스(Police)와 생활형 실험실(Living Lab)의 합성어로 범죄 예방,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위한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지난해 1년 동안 경찰에 접수된 112 신고 내용. 살인, 강도, 납치, 아동학대 등의 신고(중요 범죄)는 약 59만 건으로 3%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같은 주요 범죄에 수사 역량이 집중돼 생활형 범죄에 대한 검거율은 시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지난해 1년 동안 경찰에 접수된 112 신고 내용. 살인, 강도, 납치, 아동학대 등의 신고(중요 범죄)는 약 59만 건으로 3%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같은 주요 범죄에 수사 역량이 집중돼 생활형 범죄에 대한 검거율은 시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지난해 기준 112 신고 전화 중 강력범죄와 관련한 것은 3%에 불과하다. 나머지 97%는 모두 생활형 범죄나 사건이다. 인력의 한계 때문에 이들을 적시에 해결하기가 힘든 게 경찰의 가장 큰 고민이었다. 여개명 경찰청 R&D기획계장은 “범죄 검거율이 높아져도 실제 거주 지역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생활형 범죄가 해결되지 않으면 사람들은 사회를 불안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결국 과학기술을 접목해 국민들의 불안 요인을 줄이는 게 폴리스랩의 목표다.

폴리스랩은 기존의 과학수사와 달리 예방에 방점을 둔다. 특정 시간대와 상황에서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표시해 주는 경찰관용 지도 앱, 5∼30분 내 신속하게 지문을 분석해 신원을 확인하는 휴대용 카드 등을 검토 중이다.

폴리스랩 사업은 내년에 본격화된다. 경찰의 자체 전략 과제와 국민 공모로 선정한 우선 해결 과제를 바탕으로 운영한다. 각 랩엔 기술을 개발할 과학자, 수사 관련 의견을 제시할 경찰관, 국민이 함께 참여한다.

사업 기획을 맡은 백동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융합연구기획팀장은 “첨단 기술보다는 바로 실증 가능한 기술을 적용해 치안 개선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라며 “수혜자인 국민과 공급자인 과학자, 수요자인 경찰의 협업으로 사회 불안 요소를 줄여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해외에는 이미 비슷한 사례가 있다. 미국은 범죄 예방과 대응을 위해 IBM의 빅데이터 범죄 분석 소프트웨어(SW) ‘i2 COPLINK’를 현장에 적용했다. 앱의 지도에 범죄 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표시하고, 인근 순찰을 강화하는 식이다. 캘리포니아 등 일부 주에서 쓰는 ‘실시간 범죄 앱(real-time crime app)’은 24시간 이내 발생한 사건의 장소, 시간 및 개요를 주민에게 공개한다.

사회적 약자 보호 기술도 있다. 유럽 17개국 시민단체가 개발한 ‘유럽연합(EU) 앰버 경고’는 실종 아동을 찾는 프로그램이다. SW에 실종 아동의 정보를 공개하고 페이스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정보통신 기업과 손잡아 탐색에 나선다. 이 기술로 실종 아동 중 75%를 찾는 효과를 봤다. ‘샷스포터(shotSpotter)’는 건물 지붕에 총소리 감지 센서를 설치해 총소리가 난 지점을 경찰에 전송한다. 미국 뉴욕시는 이 시스템을 도입한 뒤 총기 범죄가 25∼35% 줄었다.

권예슬 동아사이언스 기자 yskw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