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타격…경제정책 다시 짜야” 브렉시트, 한국경제에 직격탄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6월 24일 16시 06분


코멘트
“경제정책 밑그림을 처음부터 다시 짜야할 것 같다.”

기획재정부 고위 당국자는 24일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가 현실화되자 이같이 말했다. 세계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불확실성에 빠지면서 한국 경제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침체를 보일 것이라는 비관론마저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3%대 성장도 물 건너갔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이날 오후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며 사태 파악에 나섰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브렉시트 결과가 한국 경제에 야기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외환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가용 수단 총동원할 것”


정부는 한국의 대외건전성과 재정 여력이 튼튼한 만큼 브렉시트가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우선 달러 곳간 상황이 나쁘지 않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3709억 달러로 한국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넉넉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외채무에서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29.6%로 2004년 이후 1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경제 기초체력을 꾸준히 강화해 왔다”며 “과거처럼 한국 경제가 대외변수에 휘둘릴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브렉시트가 미칠 파장이 예상 수준 이상으로 번질 경우 ‘튼튼한 기초체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2008년 금융위기에도 정부는 외환보유고가 튼튼하고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이라는 점을 내세웠지만, 주요국 외신을 중심으로 ‘한국 경제 9월 위기설’이 제기되면서 대외 불안을 경험했다.

2008년 9월 정부는 외부의 불안감을 잠재우겠다는 야심찬 목표로 뉴욕에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에 나섰다가 금리가 너무 높아 포기하는 수모도 겪었다. 그해 10월 미국과 한미 통화스와프(300억 달러)를 체결하지 못했다면 한국 경제가 외환위기 이상의 혼란을 겪었을 것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이런 경험에 정부는 브렉시트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7일 공개하려던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은 전면 수정하기로 했다. 기존 3%에서 2.8%로 낮추려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대 중반대로 추가 하향을 검토하고 있다. 10조 원대로 검토되던 추가경정예산 규모도 늘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금융과 실물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관계기관 합동 점검반을 즉시 가동해 국내외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검토할 방침이다. 25일부터 중국 베이징에서 열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총회를 적극 활용해 주요국과 국제공조를 강화하고, 주요 20개국(G20) 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논의할 방침이다.

● 세계 경제 침체로 ‘수출 코리아’ 타격

1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한국의 수출에 브렉시트는 또 다른 악재가 될 전망이다. 한국 기업의 대(對)영국 수출 감소는 물론 브렉시트 여파로 세계 경제가 흔들리면 전체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서다.

지난해 한국 전체 수출에서 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4%로 73억9000만 달러 규모다. 영국이 한국에 투자한 금액은 2억6000만 달러로 지난해 전체 외국인 투자액 중 1.2%에 해당한다. 비중이 작은 만큼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당장 대 영국 수출기업들은 타격을 입게 됐다.

더 큰 우려는 브렉시트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더욱 심화돼 전체 수출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이다. 영국과 유럽시장의 소비위축에 더해 신흥국의 자본 유출이 가속화하면서 한국의 주요 수출국인 중남미, 중동 지역 등 신흥국 수요는 더욱 침체될 수밖에 없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이관섭 1차관 주재로 중소기업청, KOTRA, 산업연구원, 대외경제연구원 등과 실물경제 상황을 점검하는 긴급회의를 열었다. 산업부는 1차관을 반장으로 하는 실물경제상황점검반을 구성하고, 관계기관과 공동으로 실물경제 움직임을 실시간 점검할 방침이다.

세종=신민기기자 minki@donga.com
세종=이상훈기자 januar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