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에 대한 공식 협의 시작”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2월 7일 16시 07분


코멘트
북한이 지난달 4차 핵실험에 이어 7일 북한의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정부 외교안보 부처들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대응 조치를 잇달아 발표했다. 정부는 특히 이번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한국과 미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주한미군 배치를 공식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한미 양국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에 대한 공식 협의 시작”… 대북 확성기 방송 확대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한미 양국은 최근 북한이 감행한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가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심각한 핵과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 위협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판단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류 실장은 “양국은 증대하는 북 위협에 대한 한미동맹의 미사일 방어태세를 향상하는 조치로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에 대한 공식 협의 시작을 동맹 차원에서 결정했다”며 “이 결정은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의 건의에 따라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공식협의의 목적은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 사드의 한반도 배치 및 작전수행 가능성을 공동 모색하는데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와 관련해 한국 측은 사드가 배치될 부지와 기반시설을 부담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사드가 동해 북부에서 운용된다면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도 요격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사드는 남한 지역의 3분의 1 정도 방어가 가능하며, 북한 스커드 및 노동, 무수단 미사일까지 요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다만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되면 이는 북한에 대해서만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국이 사드 배치에 대해 강하게 반대해온 것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방부는 이에 따라 사드를 배치하되 이는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에 편입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에 대한 추가조치와 관련해 “올해 키리졸브와 독수리연습을 최첨단 최대 규모로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대북 확성기 방송 수단을 추가해 확대 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강력한 대북 억제 수단을 최대한 전개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 “남북 민간 접촉 및 남측 단체 방북 중단 지속”

통일부는 개성공단 체류인원을 줄이고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단해 온 남북 민간접촉 및 남측 단체의 방북 중단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개성공단 체류인원을 500명까지 추가로 축소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이 4차 핵실험을 한 이후 개성공단 체류인원을 650명까지 줄여서 유지해 왔다. 통일부는 북한 핵실험 이후 가동해 오던 비상상황실을 장거리미사일 발사 직후 ‘북한 4차 핵실험·미사일 비상대책상황실’로 확대 운영하면서 개성공단 등 북한에 체류하는 국민의 신변 안전 상황을 점검했다.

통일부는 이어 “북한이 핵실험에 이어 장거리 미사일까지 발사하면서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고, 국제사회가 강력한 대북제재를 논의하는 상황을 고려해 핵실험 이후 중단해 온 민간 접촉 및 방북 중단조치를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이와 함께 “개성공단을 포함한 남북관계 차원에서도 필요한 조치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상황에 따라 개성공단을 폐쇄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 “양자 및 다자 차원의 대북 제재 확대”

외교부는 국제사회에 대해 긴급한 대응을 촉구하는 한편 양자 및 다자 차원의 대북제재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병세 외교부장관은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상과 오후 전화 협의를 갖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4차 핵실험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논의가 진행되던 중 미사일 발사까지 이뤄져 안보리 협의가 강화될 것”이라며 “이와 함께 미일호주, 유럽연합(EU) 등 양자 차원의 제재와 다양한 압박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소개했다. 12~14일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할 예정인 윤 장관은 “현지에서 케리 장관과 만날 계획이고 필요하다면 미국 뉴욕으로 가 안보리 이사국들과 세부협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제재 논의에서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던 중국의 입장 변화 가능성에 대해 윤 장관은 “최근 한중 정상 간 통화가 있었고 서울, 베이징(北京), 유엔에서 다양한 논의가 되고 있다”면서 “우리와 미국을 포함한 핵심 관계국이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도록 24시간 거의 모든 외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