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천하는 용’ 1500여 년 광채… 화려한 연꽃장식 기법 최정점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0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전남 나주서 완벽 형태 백제 금동신발 발굴

전남 나주시 정촌 고분 1호 돌방무덤에서 출토된 백제계 금동 신발. 그동안 발굴된 금동 신발 가운데 훼손이 가장 적은 상태다. 길이 32cm 신발의 발등에는 승천하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이 달렸다. 나주=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전남 나주시 정촌 고분 1호 돌방무덤에서 출토된 백제계 금동 신발. 그동안 발굴된 금동 신발 가운데 훼손이 가장 적은 상태다. 길이 32cm 신발의 발등에는 승천하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이 달렸다. 나주=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 1500년 동안 잠자던 백제 금동 신발이 모습을 드러냈다. 발등 부분에 자리한 용이 하늘로 솟구쳐 오르는 듯하다. 바닥에 새겨진 연꽃과 용의 얼굴은 화려하면서 위엄이 넘친다. 백제의 뛰어난 공예 기술과 디자인 감각이 결합된 걸작으로 평가된다. 지금까지 발굴된 금동 신발 17켤레 중 가장 빼어나고 완벽하게 보존된 이 신발은 과연 누가 신었을까. 》

전남 나주시 다시면 복암리 랑동마을의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한 정촌 고분 정상에 올라서자 시원하게 펼쳐진 영산강 물줄기와 일대 평야가 한눈에 들어왔다. 5세기 후반 묻힌 무덤 주인의 권력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복암리의 기존 고분군과 가까운 곳에서 마한, 백제권 초기 대형 돌방무덤 가운데 가장 크고 도굴 흔적이 없는 정촌 고분이 발견돼 금동 신발 등 유물이 대량 출토됐다고 23일 밝혔다.

정촌 고분은 봉분 하나에 여러 무덤이 있는 ‘벌집형 고분’으로 돌방무덤, 돌덧널무덤, 옹관묘 등 9기의 매장시설이 확인됐다. 금동 신발이 출토된 1호 돌방무덤은 최대 길이 4.85m, 너비 3.6m, 높이 3.1m다. 어른이 허리를 숙이고 간신히 들어설 수 있는 석재 문틀에서 안을 들여다보니 천장 쪽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게 만들어졌다.

이번에 출토된 백제 금동 신발은 지금까지 마한, 백제권에서 출토된 17켤레의 금동 신발 중 가장 완벽하게 보존돼 있고 작품성도 뛰어나다. 금동 신발은 길이 32cm, 높이 9cm, 너비 9.5cm 크기. 한 짝에는 발등 부분에 용이 승천하는 모양의 장식이 붙어 있다. 탈부착이 가능한데 남은 한 짝에선 사라진 상태다. 발목 부분에 덧댄 금동판도 전북 고창군 봉덕리 1호분에서 출토된 것보다 2cm가 더 긴 4.5cm다. 이 신발은 크기가 너무 크고 재질이 약해 실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망자를 사후 세계로 인도하는 의미를 담아 무덤에 넣은 것으로 보인다.

금동 신발의 X선 사진. 이를 통해 신발 바닥의 무늬를 분석해보면 한복판에 연꽃 문양이(위 점선) 보이고 그 아래 도깨비 모습 같은 용의 얼굴(아래 점선)이 새겨져 있다.
금동 신발의 X선 사진. 이를 통해 신발 바닥의 무늬를 분석해보면 한복판에 연꽃 문양이(위 점선) 보이고 그 아래 도깨비 모습 같은 용의 얼굴(아래 점선)이 새겨져 있다.
신발 바닥은 정면에서 바라본 용 얼굴과 연꽃 모양을 투조(透彫·금속판을 도려내 무늬를 나타내는 기법)와 선각(線刻·선으로 새긴 그림이나 무늬) 기법으로 꾸몄다. 바닥 중앙에는 연꽃잎을 삼중으로 배치했고 눈을 부릅뜬 채 입을 크게 벌린 용이 묘사돼 있다. 바닥에는 스파이크 모양의 징 24개를 붙였다. 당시 용은 지배 계층의 문장이었다.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과 교수는 “백제의 금동 신발 제작 기술의 최정점에 있는 것”이라며 “백제가 영산강 유역의 지배세력인 마한지역 권력자와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금동 신발을 하사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발굴에서는 대도, 금제 귀걸이, 장신구, 마구, 화살통 장식과 화살촉, 옥토기, 석침(돌베개) 등이 함께 출토됐다. 이 물건들에서는 가깝게는 가야와 신라, 멀리는 일본 양식까지 보여 영산강 지역 세력들이 이웃 나라와의 교류가 활발했음을 볼 수 있다.

도굴 흔적이 없는 고분이 발굴된 것도 이례적이다. 정촌 고분 정상에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정자가 일제강점기까지 있었다. 아직도 정자 터가 남아 있는데, 도굴꾼도 정자 아래에 고분이 있을 것이라고 짐작하지 못한 것으로 추측된다. 정자가 철거된 뒤에는 고분 위에 나무가 우거져 겉으로 보기에 고분인지 야산인지 구별하기 어려웠다.

현장발굴에 참가한 오동선 연구사는 “정자 기반 공사와 나무뿌리의 영향으로 돌덩이가 군데군데 무덤 내부에 떨어졌지만 기적처럼 금동 신발을 비켜갔다”고 전했다.

이상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장은 “이번 발굴을 통해서 마한 세력이 국가 단계에 이르진 못했지만 상당한 세력을 갖고 주변 문화를 흡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정촌 고분과 주변 고분에서 발굴된 인골의 DNA 조사를 통해 마한인들의 얼굴과 생활상을 복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주=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
#전남 나주#백제 금동신발 발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