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싶어도 45지말자?…바코드에 떠는 유통가

  • 뉴시스
  • 입력 2019년 7월 24일 07시 26분


코멘트

인터넷서 국가코드로 일제식별하는 캠페인
국가코드가 반드시 원산지 의미하는 것 아냐
패키지에 표기된 원산지 정보가 가장 정확

“바코드가 49와 45로 시작하는 제품은 일제라던데, 방금 섬유유연제 뒷면을 보니 이 코드가 있네요. 일제인가요?”

일본 불매운동이 가열되면서 일본 제품을 가려내려는 시민들의 노력이 한창이다. 제품 리스트가 떠도는가 하면 제품의 바코드로도 일제임을 식별할 수 있다는 정보까지 돌고 있다.

하지만 바코드의 국가정보가 반드시 상품의 원산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잘못된 정보가 떠도는 경우도 있어 유통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24일 맘카페 등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사구(49)싶어도 사오(45)지 말자. 일본산 제품의 바코드는 49, 45로 시작합니다”라는 내용의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었다.

일본제품인지 아닌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국가코드를 보면 알 수 있다는 취지의 캠페인이다. 바코드의 첫 3자리는 국제상품코드 표준화기구(GS1) 본부가 각국에 부여하는 국가코드다. 한국은 880, 일본은 450~459, 490~499를 쓰고 있다.

이 정보가 확산되면서 일본의 국가코드를 쓰지만 제품이 표기된 원산지국가는 제3국가인 경우, 일본 상품이 맞는지 아닌지에 대해 소비자들의 혼란도 일고 있다.

다우니와 페브리즈 등이 대표적 예다. 이 제품들의 바코드가 각각 45, 49로 시작한다는 점을 근거로 인터넷 공간에서는 일본산 제품으로 취급돼 불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본사가 미국에 있는 P&G의 제품인데다, 패키지 뒷면에는 원산지가 베트남과 태국 등 일본이 아닌 다른 국가로 표기돼 있어 일본 제품이 맞는지 진위여부를 묻는 댓글이 이어지는 경우가 심심찮다.

한국P&G 관계자는 “수입 및 판매하는 페브리즈의 모든 제품은 베트남·중국·태국·말레이시아에서, 다우니 섬유유연제는 베트남, 다우니 향기 부스터는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며 “일본과 연관이 있거나 로열티를 지불하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국가코드로만 상품원산지를 구문하면 해당 제품 이외에도 또 다른 피해 브랜드가 나올 수 있는 상황이다.

GSI의 ‘표준바코드안내책자’에는 “국가코드에 관계없이 표준 상품식별코드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고, 국가코드가 반드시 상품의 원산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명시돼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수입물품의 정확한 원산지는 관세청의 원산지제도운영에 관한 고시에 의거, 제품 패키지에 등록된 정보를 참조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판별법”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