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먹거리 전기車 배터리…日 수출 규제시 영향 제한적

  • 뉴스1
  • 입력 2019년 7월 22일 15시 14분


코멘트
LG화학 기술연구원에 전시된 전기차 배터리.(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 News1
LG화학 기술연구원에 전시된 전기차 배터리.(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 News1
일본의 추가 수출 규제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포스트 반도체 산업’이라 불리는 전기차 배터리 분야는 수출 규제로 입을 피해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일부 품목은 대일(對日) 의존도가 높아 당분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4대 소재로 불리는 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에 대한 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 등의 일본 기업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지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양극재의 경우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유럽(유미코아 등)과 한국 기업(L&F·에코프로비엠 등)에서 주로 조달한다. LG화학은 일부를 일본 기업(니치아)에서 수입하고 있지만, 최근 내재화 비율을 높이고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평가다.

음극재와 전해액, 분리막 등도 한국 기업의 생산 능력과 기술력이 높고 중국 등 다른 해외 기업의 공급량도 상당해 일본 기업의 의존도가 크지 않다. 삼성SDI의 경우 분리막에 대한 일본 기업(아사히 카세이) 의존도가 높지만 대안이 마련된 상태다. SK이노베이션은 분리막을 100% 자체 생산해 생산력 기준 세계 3위 기업이기도 하다.

특히 배터리 원가의 40%가량 차지하는 핵심 부품인 양극재의 경우 한국 생산 기업의 기술력이 높다는 평가다. 지난 21일 전남 광양 양극재 공장의 1단계 준공을 마친 포스코케미칼은 내년 3월 완공시 연 8만9000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되는 등 공급 능력도 충분하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배터리는 핵심 소재의 내재화 및 수입사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정치적 이슈가 확대되더라도 배터리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들도 공급선을 확대하는 등 대비에 나섰다. 지난 9일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자동차 전지 소재는 이전부터 (수급처를) 다변화하는 노력을 이미 하고 있다”며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은 한국·중국·일본의 2~3개 업체에서 소싱을 받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일부 원료·설비는 일본 기업 의존도가 높은 편이라 추가 수출 제한 조치가 있을 경우 일정 부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일본 정부는 수출시 허가를 면제하는 안보상 우방인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 경우 일본 정부가 법령으로 관리하는 1112개 전략 물자는 한국 수출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전해액 원료인 리툼염, 배터리용 고품질 바인더, 동박 제조에 쓰이는 티타늄 드럼, 알루미늄 파우치 등은 일본 업체 의존도가 높다고 분석했다. 특히 알루미늄 파우치의 경우 당장 쇼와덴코·DNP 등 일본 업체의 품질 수준을 따라잡지 못해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는 ‘화이트리스트’ 배제 움직임과 관련해 오는 23일 일본 정부에 부당함을 지적하는 이메일 의견서를 보내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기업의 세계 전기차 배터리 생산 점유율이 높은 편이라 수출 제한이 이뤄지면 일본 기업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한국 기업도 당분간 피해가 불가피하지만 대체재가 있고 공급망도 다각화할 수 있어 막대한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