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96책 국보 추가 지정

  • 뉴스1
  • 입력 2019년 6월 25일 10시 00분


코멘트

사리공예품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도 국보 지정

국보 제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성종실록/밀랍본).(문화재청 제공)© 뉴스1
국보 제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성종실록/밀랍본).(문화재청 제공)© 뉴스1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의 누락본 7책, 적상산사고본 4책과 오대산사고본 1책, 봉모당본 6책, 낙질 및 산엽본 78책 등 ‘조선왕조실록’ 96책을 확인해 국보로 추가 지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기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를 국보로 지정했다고 덧붙였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시대의 정치·사회·외교·경제·군사·법률·문화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이다. 국왕도 마음대로 열람하지 못했을 정도로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은 사료다.

1973년 국보 제151호로 지정됐으며, 이후 국제적으로도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이번 추가 지정은 2016년 문화재청이 국보 제151-1호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일부가 1973년 국보로 지정될 당시부터 누락됐다는 사실을 인지한 후 2017~2018년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포함해 기타 소재지를 파악해 일괄 조사한 결과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85책/정족산사고본 7책, 낙질·산엽본 78책)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9책), 국립중앙박물관(1책), 국립고궁박물관(1책)에 소장된 실록을 추가로 확인했다. 이 중에는 1973년 국보 지정 때 누락됐던 것도 있고, 국보 지정 이후에 환수됐거나 별도로 구매한 것도 있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성종실록’ 7책은 정족산사고본인 제151-1호에 편입됐고 2018년 일본에서 환수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효종실록’ 1책은 국보 제151-3호 오대산사고본에 편입됐다.

특히 6.25전쟁 때 북한군이 북으로 반출해 국내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던 적상산사고본 실록(4책)이 국립중앙박물관(1책)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책)에 나눠서 보관돼 온 사실을 파악하고 추가 지정한 것은 대표적인 성과로 꼽을 수 있다.

국보 제151-4호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 지정을 계기로 완질 또는 일부 형태로라도 국내에 전해진 조선 4대 사고(史庫)인 정족산·오대산·적상산·태백산사고 실록의 현황을 모두 파악하게 됐다. 북한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나머지 적상산사고본 실록의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보 제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왼쪽부터 청동제사리합, 은제사리호, 금제사리병).(문화재청 제공)© 뉴스1
국보 제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왼쪽부터 청동제사리합, 은제사리호, 금제사리병).(문화재청 제공)© 뉴스1

국보 제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2007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백제 왕실 사찰인 왕흥사터의 목탑지에서 발굴한 유물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사리기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출토 당시 금당(대웅전) 앞 목탑지의 사리공(사리기를 넣은 네모난 구멍)에서 진흙 속에 잠긴 채 발견됐고, 이후 보존처리를 통해 지금의 찬란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6세기 전반 사리공예품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백제 왕실 공예품이라는 역사적·예술적 가치,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절대 연대를 가진 작품이라는 희소성과 뛰어난 작품성으로 우리나라 공예와 조형 예술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높은 작품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