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가라고요? 현지사정 잘 모르는 말씀”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김현철 발언 파문 계기로 본 한국청년 아세안 취업 실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로 가라고요? 현지 사정을 너무 모르시네요. 저는 다른 사람들에게 동남아시아 취업을 추천하고 싶지 않아요.”

동남아시아 국가에 취업했던 김모 씨(28·여)는 김현철 전 대통령경제보좌관의 ‘젊은이들은 헬조선이라고 하지 말고 동남아로 가라’는 발언을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김 씨는 2016년 1월 고용노동부의 청년 해외취업 지원 프로그램 K-Move 스쿨을 통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한 유통업체에 취업했지만 8개월 만에 회사를 그만뒀다. 하루 12시간씩, 1주일에 6일을 근무하는데도 월급은 120만 원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 씨는 직장을 구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의 다른 회사 면접을 보는 자리에서 한국인 사장에게 ‘취업 비자를 발급해 달라’고 요구했다가 “돈 많은 남자 만나서 비자를 받으라”는 황당한 말을 들어야 했다. 또 다른 회사 면접 때는 역시 한국인 사장에게서 “집에서 키우는 개도 돌봐줄 수 있냐”는 질문을 받았다. 김 씨는 이후 말레이시아의 정보기술(IT) 업체로 이직했지만 현지의 한국인 법인장이 공금을 횡령해 회사가 문을 닫았다. 김 씨는 결국 2017년 2월 한국으로 돌아왔다.

고용부에 따르면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등 아세안 국가에 취업한 청년(15∼34세)은 2014년 444명에서 2018년 1283명으로 4년 새 크게 늘었다. 베트남의 한 호텔에서 호텔리어로 근무하는 박모 씨(25)는 “연봉으로 2400만 원을 받는데 수당도 없이 주 6일을 일하고 성수기에는 일주일 내내 근무한다”고 말했다. 한국외국어대 동남아연구소 관계자는 “10∼15년 전만 해도 근무 여건이 좋았지만 동남아에서 직장을 구하는 한국인이 많아지면서 모든 조건이 하향 조정됐다”며 “평균 임금은 한국의 70∼80% 수준”이라고 말했다.

동남아에 취업한 청년들은 한국 기업의 현지 법인이나 한국인이 사장으로 있는 업체에 입사해 중간관리자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다. 인도네시아에서 근무하는 윤재영 씨(29)는 “실무 경험이 없는 (나 같은) 신입사원이 직원이 1만 명이나 되는 공장의 안전까지 책임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베트남 하노이의 한 공장에서 일하는 김모 씨(26)는 “중간관리자를 고용한다며 청년을 뽑고, 대우는 신입사원 수준인데 업무량은 과장 수준”이라고 말했다.

2016년 필리핀의 디자인 회사에서 일한 이모 씨(28)는 1개월짜리 관광비자의 만료 기간이 다가오자 회사가 해고를 통보했다. 이 씨는 “사장이 나를 부르더니 ‘일거리가 없으니 나가달라’고 했다”며 “취업비자를 발급받으려면 1년에 150만 원이 드니까 단물만 빼먹고 버린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내 또래 친구 6명도 같은 이유로 해고됐다”고 말했다. 취업비자 발급에 드는 비용을 아끼기 위해 관광비자로 입국시킨 청년들을 일단 고용해 일을 시킨 뒤 비자 만료 시기가 다가오면 해고해 버리는 것이다.

정부가 동남아시아 국가 취업을 위해 벌이는 청년지원 사업에 허점이 많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모 씨(32)는 지난해 10월 고용부에서 운영하는 ‘월드잡’ 홈페이지를 통해 4대 보험과 퇴직금을 보장해준다는 베트남의 한 물류업체에 취업했다. 하지만 입사 3일 만에 사장은 “홈페이지에만 그렇게 올렸다. 4대 보험, 퇴직금을 안 주는 건 당연하지 않냐”고 말을 바꿨고, 정 씨는 취업한 지 일주일 만에 회사를 그만뒀다. 이런 이유 때문에 동남아시아 국가에 취업한 청년들 중 절반 가까이가 3년을 넘기지 못하고 한국으로 다시 돌아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연 always99@donga.com·윤다빈 기자
#김현철#아세안#취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