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걸크러시]〈10〉원님에게 칼을 겨눈 길녀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1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도적의 손에 부질없이 죽느니 차라리 내 손으로 도적놈을 죽여서 죽어도 원수를 갚아야지. 그러자면 억지로라도 밥을 먹어서 기운을 차려야 할 일이다.”

―신돈복의 ‘학산한언(鶴山閑言)’

길녀(吉女)는 평안도 영변에서 태어난 향관의 서녀(庶女)로 일찍 부모를 여의고 삼촌 집에 의탁됐다. 나이 스물이 됐으나 시집을 가지 못하고 길쌈과 바느질로 생계를 이었다. 어쩐지 이 여인에게서 ‘짠내’가 난다. 이는 조선 후기 사회적 현상으로 정조의 명에 따라 지어진 ‘김신부부전’이나 희곡 ‘동상기’ 등에서도 가난한 노처녀의 어려움이 잘 나타나고 있다. 길녀는 그저 평범한 여성이 아니었다. 우아한 품행과 아름다운 외모뿐만 아니라 최고의 베짜기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길녀에게 꽃길을 걷게 해 줄 남자가 운명의 상대라면 좋으련만, 운명의 남자는 인천에 사는 불혹을 넘긴 신명희란 사람이었다. 그는 사별한 부인을 대신해 집안일을 맡아 줄 여인을 찾는 평범한 인물이었다. 신명희는 두 번의 꿈에서 길녀를 미리 봤는데 어느 노인이 입이 11개 달린 여자와 혼인해 해로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첫 번째 꿈에 본 여아는 5, 6세쯤 됐으나 두 번째 꿈에서 봤을 때는 이미 장성해 있었다. 꿈에 보았던 11개 입(十一口)이 길할 길(吉)이라는 한자라는 뜻을 알게 된 신명희는 하늘이 점지한 운명에 감동하게 된다. 오히려 길녀 덕에 꽃길을 걷게 될 사람은 바로 신명희였다.

그러나 신명희는 혼인한 뒤 몇 달 만에 길녀를 데려가겠다는 말만 남기고 혼자 고향으로 돌아간다. 3년이 넘도록 남편이 나타나지 않자 주변 사람들은 신명희를 믿지 못하겠다며 그를 다른 사람에게 넘길 생각까지 한다. 남편이 떠난 뒤 아무런 소식이 없자 길녀의 당숙은 신명희가 조카딸을 버렸다고 확신했다. 그리고 돌아올 희망이 없는 사람을 기다리기보다는 젊은 원님을 택하는 게 더 낫다고 회유한다. 서녀라는 사회적인 신분은 원님의 소실로 보내기에 적당했고 길녀에게 닥친 것은 강제 혼인뿐이었다.

길녀는 처음에는 울부짖고 욕설을 퍼부으며 음식을 거부했으나 곧 생각을 바꿨다. 오히려 힘을 내서 어떻게든 현재 상황을 바꾸려고 한 것이다. 그는 혼인날 숨겨 놓았던 칼을 휘둘렀다. 어느 누구도 길녀를 막지 못했다. 그는 원님을 찾아가 “백성에게 잔학하고 여색을 탐한 나머지 흉악한 읍민과 결탁하여 양반의 소실을 겁탈하려 하다니, 개돼지도 하지 않는 짓이오. 천지에 용납 못할 일이라. 나는 어차피 네 손아귀에 죽을 목숨이다. 너는 꼭 죽여야 할 놈이니 내 너를 죽이고 함께 죽겠다”며 꾸짖는다. 길녀의 통렬한 외침에 사람들은 눈물을 흘리고 탄복해 마지않았다. 결국 길녀는 평안감사와 이웃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벗어나 신명희와 재회한다.

사람들이 길녀를 훌륭한 여자라 칭찬한 것은 정절을 지켰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베를 짜던 손에 칼을 쥐고 맹렬히 칼을 휘두르며 날뛸 때 길녀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그는 자신의 인생을 다른 사람이 바꿔놓는 것이 인생을 도적질 당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는 자신의 인생을 마음대로 바꾸려던 세상을 향해 무기를 들고 맞서 삶을 적극적으로 지켜냈다.

임현아 덕성여대 언어교육원 강사
#길녀#학산한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