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의 재발견]〈62〉‘갖은’ 고생 끝에 ‘가진’ 직업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7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밑줄 친 부분에 주목해 보자.

① “10살 때부터 가진 직업을…….”
② “10살 때부터 갖은 직업을…….”


①은 인터넷 기사의 표제어이고 ②는 단어 하나를 바꾼 것이다. 이 예문에서 아무런 의문이 생기지 않는다면 굳이 고민할 필요는 없다. 일상에서 이들이 다름을 제대로 알고 사용하는 사람일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이상하다 느낀다면 어디로부터 온 의문인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상함은 ①로부터 온다. ①의 ‘가진’의 기본형부터 잡아보자. ‘가지다’다. 그리고 이 ‘가지다’를 준말 ‘갖다’로 쓰는 일이 많다. 하지만 ①의 ‘가진’은 준말인 ‘갖은(×)’으로 적을 수 없다. 실제로 쓰는 말을 떠올려 보자.

갖고(○) 갖지만(○) 갖든지(○)
갖으니(×) 갖어서/갖아서(×) 갖으라고(×)


원래 말인 ‘가지다’는 모음이든 자음이든 자유롭게 연결되지만 ‘갖다’는 모음을 연결해 말할 수 없는 것이다. 표준어 규정은 우리가 이렇게 구분해 말한다는 것을 잘 안다. 그래서 표준어 사정원칙에 준말에 모음이 연결되지 못함을 반영해 두었다. ‘꿈을 갖은(×) 우리’가 규범에 어긋나는 표기인 것은 이 때문이다. 실제로도 우리는 ‘꿈을 갖은(×) 우리’라 말하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는 왠지 ‘갖은’이라고 말한다는 느낌을 갖는다. 이는 이 ‘갖은(×)’이 ②의 ‘갖은(○)’과 발음이 같기에 생기는 일이다. 이 두 표기는 동음이의어 관계에 놓여 있기에 혼동을 겪는 것이다. 표준어 규정에 관심이 많은 사람일수록 이를 더 많이 혼동한다. 컴퓨터의 맞춤법 교정 시스템 역시 예외가 아니다. 컴퓨터는 ‘갖은, 갖으면서, 갖으라고’의 표기가 잘못 쓰인 것을 잡아내질 못한다. 그렇다면 ‘갖은(○)’은 ‘갖은(×)’과 무엇이 다를까? ‘갖은(○)’은 ‘온갖’이라는 관형사와 의미가 닿아 있다. 예문을 떠올리면서 생각해 보자.

갖은 노력, 갖은 고생, 갖은 수고
갖은 핑계, 갖은 수모, 갖은 모욕


이 단어는 항상 명사 앞에서 명사를 꾸미는 방식으로만 쓰인다. 우리말에서 항상 명사를 꾸미는 품사는 ‘관형사’다. 국어의 관형사는 절대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 대표적 관형사인 ‘새 집, 이 책’이라 할 때의 ‘새’나 ‘이’를 떠올려 보자. ‘새’나 ‘이’의 모양이 언제나 고정된 것처럼 ‘갖은(○)’도 언제나 그 모양으로 쓰인다. 현대 국어의 준말인 ‘갖다’에 ‘-은’이 붙어서 만들어진 말이 아니라는 의미다.

여기서 멋진 질문이 나올 수도 있다. 그러면 어원적으로는 어떤 말에 ‘-은’이 붙어서 나온 말일 수도 있을까? 옛날에는 오늘날의 준말인 ‘갖다’와 다른 ‘u다’가 있었다. 세월이 변하면서 이 말은 없어지고 그 말로부터 나온 ‘갖은(○)’만이 관형사로 남은 것이다. 마지막으로 처음 보았던 예문들의 뒤에 올 말들을 생각해 연결해 보자.

① “10살 때부터 가진 직업을 포기해야 하는 심정은….”
② “10살 때부터 갖은 직업을 전전해 온 그는….”


이런 작업들이 두 단어를 명확히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준다.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맞춤법#갖다#가지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