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전 일방적으로 바꿨던 ‘평양시간’ 김정은, 경협 확대 겨냥 ‘계산된 결단’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4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남북 비핵화 선언]“왜 자꾸 갈라져가는걸 만드는지”
의제에 없던 ‘시간통일’ 먼저 제안

정상회담 당일 서울보다 30분 늦은 평양시계 27일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 판문점 평화의집 1층에 걸려 있던 시계. 왼쪽은 서울 시간을, 오른쪽은 30분 늦은 평양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판문점=한국사진공동취재단
정상회담 당일 서울보다 30분 늦은 평양시계 27일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 판문점 평화의집 1층에 걸려 있던 시계. 왼쪽은 서울 시간을, 오른쪽은 30분 늦은 평양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판문점=한국사진공동취재단
“왜 자꾸 갈라져 가는 걸 만드는지 모르겠습니다. 남북은 같은 땅이고 불과 몇 미터 걸어왔을 뿐인데 시간이 왜 이렇게 다를까요. 이번 계기에 시간을 통일합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후 만찬에 앞서 환담장에서 전격 제안한 표준시 통일은 ‘철저히 계획된 통 큰 결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남북 교류가 촉진될수록 금융, 경제협력 등의 분야에서 동일한 표준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봤을 수 있다.

북한은 2015년 8월 15일 광복 70주년을 맞아 표준시 기준을 기존 일본의 중앙 자오선이었던 동경 135도에서 한반도를 지나는 중앙 자오선인 동경 127.5도로 바꿨다. 일제가 동북아 침략 전쟁 당시 편의를 위해 도쿄시로 통일했던 게 문제니 변경하겠다는 주장이었다.

당시 우리 정부는 북한의 일방적인 변경에 대해 “개성공단 출입 등 남북 교류에 지장이 생기고 금융, 항공(관제) 등 기회비용 측면에서 손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가 29일 “표준시 통일은 북측 내부적으로도 많은 행정적 어려움과 비용을 수반하는 문제임에도 국제사회와의 조화와 일치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미이자 향후 남북, 북-미 간 교류 협력의 장애물들을 제거하겠다는 결단”이라고 평가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물론 북한이 표준시를 한국보다 30분 늦춘 이후 남북경협 분야에서 딱히 큰 문제가 생긴 적은 없다. 북측이 남측에 개성공단 통행 계획서를 제출할 때 평양 시간에 맞춰 달라고 요청했기 때문. 개성공단이 2016년 2월 폐쇄되고 남북 관계가 경색 국면에 들어서면서 문제가 표면화되지 않은 점도 한몫했다.

이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의 표준시 통일 제안이 비핵화 정국에서 더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카드 아니냐고 보고 있다.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 교수는 “‘통 큰 양보를 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전략이다. ‘살라미’ 식으로 계속 조금씩 양보하는 모습을 보여줘 남한 사람들을 무장 해제시키고 비핵화 검증 등에 대한 주목도를 분산시키려는 것”이라고 했다.

신나리 journari@donga.com·김성모 기자
#남북정상회담#비핵화#북한#김정은#청와대#핵실험#북미회담#문재인 대통령#판문점 선언#평양시간#시간통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