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홍수영]막 내린 친박의 ‘생명 연장’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2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홍수영 정치부 기자
홍수영 정치부 기자
지난해 12월 16일, 원내대표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은 폭풍전야였다. 일주일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됐고, 비박(비박근혜) 진영은 집단 탈당을 입에 올리고 있었다. 친박과 분당(分黨) 배수진을 친 비박은 총력전을 벌였다. 그런 선거에서 친박계가 지원한 정우택 의원이 119표 중 62표를 얻어 비박 나경원 의원(55표)을 눌렀다. 인물에 대한 호불호가 일부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었다. 하지만 친박에 부정적인 여론에도, 보수가 쪼개질 위기에도 둔감했던 새누리당의 현실이었다.

그렇기에 12일 한국당의 새 원내대표를 뽑는 선거에서 관전 포인트 중 하나는 ‘누박(누가 뭐래도 친박)’의 숫자였다. 이는 정권을 잃고 온갖 풍파를 겪는데도 숨죽이고 있던 의원들의 속마음을 보여줄 지표였다. 선거 결과 복당파인 김성태 의원(108표 중 55표)이 승리를 거머쥔 가운데 ‘골박(골수 친박)’인 홍문종 의원은 35표를 얻는 데 그쳤다. 20대 국회 출범 당시 친박계는 70∼80명에 육박했다. 이에 비하면 확연한 퇴락이었다. 공식적인 숫자에 친박계도 스스로의 몰락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을 테다.

사실 친박계는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가 불거지기 전부터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2014년 5월 당내 국회의장 경선(정의화 의장 당선), 같은 해 7월 당 대표 선거(김무성 대표 당선), 이듬해 2월 원내대표 선거(유승민 원내대표 당선)에서 친박계 후보는 줄줄이 고배를 마셨다. 하지만 친박계는 인정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을 뒷받침한다는 미명하에 공천과 당 운영에서 갖은 작패를 부렸다. 그러면서 보수 정당을 사지(死地)로 내몰았다. 이번에 홍 의원을 찍지 않은 72표는 ‘친박의 재등판은 꼭 막아야 한다’는 의원들의 집단적인 의사 표현이었다.

상황이 이런데도 친박계는 끝까지 오판했다. 한 중진 의원은 선거 직전 통화에서 “중도 후보가 힘을 받지 못하면서 결국 계파 선거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파 선거를 하면 친박에 유리하다는 얘기였다. 의원 명단을 놓고 ‘○’ ‘△’ ‘×’를 치며 표 계산을 했다는 한 친박 핵심 의원은 “김, 홍 의원 모두 40여 표씩인데 확실한 표는 우리가 더 많다. 결선에 가면 1, 2표라도 이긴다”고 장담했다. ‘의리’를 중시하는 당 분위기에 의원들이 취했던 ‘페이크(가짜) 모션’을 친박계는 읽지 못했다.

이제 더 이상 친박 얘기를 하지 않아도 되겠다. 친박은 명실상부한 당내 소수파가 됐다. 또 몰락하는 순간까지 누구 하나 정치적 책임을 지지 않았다. 재기의 가능성을 스스로 박제한 채 생명 연장을 위한 몸부림만 치다가 정치적 유산도 없이 파산했다.

국회의 탄핵이 있은 지 1년, 세상은 천지개벽했는데 한국당의 변화는 너무도 더뎠다.

한국당 의원들이 성찰해야 할 점이 있다. 그간 뇌사 상태에 빠진 친박계에 호흡기를 달아준 사람은 누구였던가. 다름 아닌 침묵으로 묵인했던 한국당 의원들 자신이다. 사석에서는 친박의 행태에 온갖 불만을 터뜨리면서도 정치적 의리와 지역민 정서를 핑계로 문제 삼지 않았다. 혹시 지금 내 손에 피 묻히지 않고 ‘비박당’으로 탈색했다고, 역시 집 나가지 않길 잘했다고 안도하고 있는 건 아닌지 묻고 싶다.
 
홍수영 정치부 기자 gaea@donga.com
#자유한국당#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비박당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