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바람… ‘造船의 봄’ 예감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1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최근 국내 조선업계에 낭보가 잇따르고 있다. 삼성중공업이 9월 스크러버(탈황장치)가 장착될 초대형 유조선 5척을 수주한 데 이어 현대중공업은 9, 10월 액화천연가스(LNG)로 추진이 가능한 초대형 광석운반선 15척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중공업도 7월 세계 최초로 LNG 추진 유조선 2척 수주 소식을 알렸다.

이는 모두 2020년 유엔의 해운 전문 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의 황산화물 규제 발효를 앞두고 들려오는 친환경 선박 관련 소식이다. 현재 운항되고 있는 전 세계의 선박들은 자동차보다 더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IMO는 당장 2020년 1월 1일부터 전 세계 바다에서 선박 배기가스 내 황산화물 기준을 현행 3.5%에서 0.5%로 강화할 예정이다.

글로벌 조선·해운업계는 친환경 선박 시대가 최근의 침체기를 전환시킬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IMO 규제로 인해 선사들은 2년 2개월 안에 △연료를 유황 성분이 낮은 저유황유로 교체하거나 △기존 선박에 스크러버를 설치하거나 △친환경 LNG 추진선으로 선박을 교체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저유황유의 경우 가격이 높고 수급이 불확실해 장기적인 대안이 될 순 없다. 결국 선박을 고쳐 쓸지, 새로 지어야 할지의 기로에서 고민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의 경우 친환경 기술을 선도하는 조선업계와 이제 막 연착륙을 도모 중인 해운업계의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친환경 LNG 추진 선박 기술은 아직까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한국 조선업계가 앞서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영국 로이드 선급과 손잡고 세계 최대 규모의 LNG 추진 광석운반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최초의 LNG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를 미국에 납품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친환경 규제는 국내 업계에선 환영할 일이다. 2018년 하반기부터 전 세계 해운사들로부터 LNG 추진 선박 발주가 눈에 띄게 늘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반면 해운업계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사실상 유일한 글로벌 해운사로 남은 현대상선은 글로벌 초대형 선사들에 대응해 몸집을 키워야 함과 동시에 친환경 규제 대응 방정식도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직접 보유하고 있는 선박 13척의 경우 연식에 따라 폐선하기 아까워 대당 평균 설치비용 70억∼80억 원인 스크러버를 달아야 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대여 선박 48척의 경우 절반가량이 2021년경 계약이 끝나 반납이 예정돼 있다는 점은 호재다. 신규 LNG 추진 선박 발주나 임대를 위한 숨통이 어느 정도 트이는 셈이기 때문이다. SM상선의 경우 보유 선박이 2척밖에 되지 않고 당장 단거리 노선 운항 확대를 위한 중고 선박 매입에 치중하고 있어 LNG 추진선 발주는 당분간 어렵다는 입장이다.

향후 LNG 추진 선박 수주와 운항이 늘어날 경우 정부 차원에서도 해결 과제가 생긴다. 타국에 비해 앞선 LNG 선박 건조 기술과 달리 아직까지 LNG 연료 충전 인프라는 세계적으로도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신기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과 해운·조선업계 협력을 정부가 나서서 조율해 주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미 선박 과잉 공급 문제가 고착화된 해운업계가 이번 분수령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인현 고려대 해상법연구센터장은 “이미 선박이 많고 덩치가 큰 머스크 등 글로벌 선사들의 경우 선박 교체 비용 자체가 심각한 리스크가 될 수 있다. 한국 해운사가 이번 규제를 앞두고 선박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친환경 프리미엄 운송 서비스를 앞장서서 내놓는다면 국내 해운업계도 전화위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조선업계#친환경#선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