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장기 말소’ 애국정신 현충원에 잠들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4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1936년 말소 주역 신낙균 선생
당시 동아일보 사진과장 재직… 별세 62년만에 유해 옮겨 안장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 선생이 우승했을 때 동아일보 사진과장으로 ‘일장기 말소 사건’을 주도한 신낙균 선생의 
유해가 세상을 뜬 지 62년 만에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7일 열린 봉안식에서 신 선생의 손자 신문영 운정재단 사무총장이 
영정을 향해 묵념하고 있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 선생이 우승했을 때 동아일보 사진과장으로 ‘일장기 말소 사건’을 주도한 신낙균 선생의 유해가 세상을 뜬 지 62년 만에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7일 열린 봉안식에서 신 선생의 손자 신문영 운정재단 사무총장이 영정을 향해 묵념하고 있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사진은 단순히 기념이나 오락이 아니다. 사진의 앵글에 따라 국가의 안위가 바뀔 수도 있다.”

신문영 운정재단 사무총장(69)이 기억하는 할아버지 신낙균 선생(1899∼1955)의 굳은 신념이자 의지다. 신 선생은 동아일보 사진과장이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생(1912∼2002)의 사진 속 일장기를 지우고 신문에 실은 주역 중 한 명이다.

그해 8월 25일 동아일보는 2면에 일장기가 삭제된 손 선생의 사진과 함께 금메달 소식을 전했다. 이는 민족의 희망과 자존심을 회복시키고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였다. 그러나 신 선생 등 7명은 일본 경찰에 체포돼 모진 고문을 당했다. 선생은 40일 만에 풀려났지만 사진과 관련된 일체의 활동이 금지됐다. 선생은 지방을 전전하다 광복 후 경기 수원시 수원북중에서 화학교사로 근무하던 중 세상을 떠났다.

한국 독립운동사와 언론사에 한 획을 그은 신 선생은 별세한 지 62년 만인 7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 잠들었다. 별세 직후 수원북중 인근에 묻힌 선생의 유해는 1972년 안성시 선산으로 옮겨졌다. 그렇게 40년 넘게 안성에 있다가 국가보훈처의 지원으로 이번에 현충원으로 옮겨졌다.

신 선생의 유해는 이날 현충원 충혼당 320호에 안장됐다. 선생의 부인인 오숙근 씨의 유해도 함께 안장됐다. 신 사무총장은 “사진을 전문으로 하신 분 중에서는 유일하게 국립묘지에 애국지사로 안장된 것”이라며 “사진 역사에서도 전례가 드문 일이기 때문에 더욱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정동연 기자 call@donga.com
#신낙균 선생#일장기 말소#안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