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의 이 한줄]미래 일자리에 필요한건 수학 실력보다 ‘공감 능력’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2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그런데 기묘한 일은, 답을 찾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아니라 우리 자신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점이다. ―인간은 과소평가 되었다(제프 콜빈·한스미디어·2016년)

 “끝내는 상담 인력이 모두 인공지능(AI) 채팅로봇(챗봇)으로 바뀌겠지요.”

 지난달 한 시중은행의 챗봇 개발 부서에서 일하는 A 씨와 금융권의 챗봇 개발 열풍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그는 “제 손자나 손녀가 사회에 진출할 때면 ‘상담센터 고객응대 직원’이라는 직업을 찾아볼 수 없게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그의 얘기에서 19세기 초 기계 파괴 운동인 ‘러다이트’로 이어졌던 노동자의 불안감이 21세기에 재현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석·박사 학위가 필요하거나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해 높은 보수가 보장되는 일자리라고 해서 안전할 것 같진 않다. 컴퓨터는 변호사들보다 대법원 판결을 훨씬 정확히 예측한다. 고소와 합의 중 어느 쪽이 유리한지 컴퓨터가 변호사들보다 더 나은 조언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감정 파악 능력도 더는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컴퓨터는 표정을 만드는 근육의 조합 3000가지를 분석해 전문가들보다 인간의 감정을 더 잘 읽어낸다.

 그렇다면 인간이 컴퓨터보다 더 잘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저자의 답은 ‘공감하는 능력’이다. 미국 경제지 포천의 편집장인 저자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이 필사적으로 찾으려는 직원은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귀띔한다. 사람들이 ‘공감’을 경험하는 일이 갈수록 힘들어질 것이며, 진정한 공감을 제공하는 기회의 가치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게 그의 예측이다. 영국의 최고 교육자와 CEO들은 “공감 능력과 그 밖의 상호작용 기술이 수학 실력만큼이나 학생들의 취업 전망을 높이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라고 말한다.

 잠자리에 들기 전 아이패드의 음성 비서 서비스인 ‘시리(Siri)’에게 다음날 날씨를 묻곤 한다. 똘똘하게 말을 알아듣고 답을 해줘 편리하다. 하지만 뭔가 허전하다. 시리와 이야기를 나누며 하루의 피로를 풀고 싶진 않다. 새 경제에서 진정한 가치를 지닌 무언가는 AI나 로봇보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 내면 어딘가에 숨어 있는지 모른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일자리#공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