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인 컬처]이 시대 저항의 아이콘은 지드래곤, 방탄소년단?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5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사라진 음악속 저항문화를 찾아서… <하>
대량 소비되는 ‘반골’들 셔츠… ‘저항’마저 자본의 포로 됐나

《 ‘진정성’ 있는 저항은 사라지고 ‘디스 문화’만 남았다는 교실 속 10대들의 외침에 답답해진 우리는 전가의 보도인 조사팀(엠브레인)에 ‘지령’을 내렸다. ‘이 시대 저항의 아이콘’을 찾으라고. 12∼15일 10대와 20대 500명에게 젊은층의 저항문화에 대해 물었다. 응답자의 44.6%가 ‘젊은 세대만의 자유와 혁신, 기존 체제에 대한 거부 등 저항문화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답했다. 33.6%는 ‘사라졌다’고 했다. 》

○ 이 시대 저항의 아이콘은 지드래곤, 방탄소년단

청춘들이 뽑은 저항의 아이콘 1위는 가수 지드래곤.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 래퍼 블랙넛, 그룹 빅뱅, 방송인 유병재가 뒤를 이었다(표 참조). 상위권을 점한 것은 대개 아이돌 아니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된 이들. 이 밖에 유아인, 블락비, 도끼, 저스틴 비버, 일간베스트, 아이콘, 악동뮤지션, 싸이, 혁오, 버스커버스커…? 우린 새삼 국어사전을 다시 들췄다.(저항: 명사. 1. 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팀.)

“웃기는 결과군. 양현석 방시혁 품에서 큰 이들이 저항의 아이콘? 서태지는 적어도 자신이 룰을 만들었지, 시스템의 인형은 아니었는데….”(에이전트5·김윤종 기자)

두 요원은 어이없어 하다 ‘꼰대’ 취급을 당했다.

“서태지 때도 기성세대는 ‘뭐 저딴 애가 문화대통령이냐’고 하지 않았나요? 서태지나 방탄이나 우리가 보기엔 별 차이 없어요. 자기 노래 작사, 작곡하고 패션 리더로 트렌드 앞서가요. 서태지 나왔을 때 그룹 들국화 얘기하면서 ‘요즘 애들이란…’이라며 혀 차던 386세대랑 똑같네요.”(10대 김정석 군)

허한 마음을 달래려 저항문화에 대해 이야기해줄 사람들을 찾았다. 20년 가까이 인디 음악계를 지킨 이들. 서울 상수역에서 록 밴드 해리빅버튼의 이성수와 힙합 그룹 가리온의 MC메타를 만났다. 둘에게 설문 결과를 들이밀었다. “아이돌은 ‘울타리’ 안에 있는 셈인데, 저항하는 것처럼 비친다는 게 재밌네요.”(이성수)

○ 하위문화, 반문화, 포스트 하위문화

MC메타는 최근 SBS스페셜 ‘헬조선과 게임의 법칙-개천에서 용이 날까용?’에서 랩으로 청춘의 마음을 대변했다. “학자금 대출부터 시작이에요. 현실에 눌려 ‘짜부’가 돼 일어설 힘조차 없는 환경에서 저항을 떠올리는 게 쉽지 않죠. 래퍼 블랙넛이 3위에 오른 게 재밌네요. 저항의 타깃이 불분명하다는 강한 방증인 듯해요.”

이론적 보강이 필요했다. 저항문화에 관해 연구해온 신현준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국제문화연구학과 HK교수를 찾았다.

“하위문화(subculture)와 반문화(counterculture)가 서로 다릅니다. 속칭 저항문화는 하위문화에 가까워요. 10대, 노동계급 등에서 비롯된 것이고 또렷한 의식이 있다기보다 그냥 체제가 싫은 것이 강화된 것. 즉, 저항이 아니라 반항에 가깝죠. 반면 반문화엔 이를테면 히피문화가 속해요. 정치적·이념적 저항이 있는 겁니다.”

두 요원이 찾던 저항문화는 하위문화에 가까웠다. 하위문화는 대중문화와 밀접하다. 쉽게 상업화된다. 반문화는 주로 아방가르드 같은 고급문화로 흡수됐다. 이런 하위문화, 반문화에 진정성이 있다는 사회적 담론이 ‘반문화 진정성’이다. 상업문화 안에 있되 자기 정체성을 해치지 않고 문화적 실천을 하는 것. 요즘은 이런 ‘포스트 하위문화’가 대세다. 저항문화, 이제는 촌스러워진 걸까.

“관객이 10명도 안 되는 클럽에서 음악에 맞춰 분노하는 것이 저항일까, 아니면 주류시장 안에서 자기를 표현하며 힘을 획득하는 것이 저항일까.” 에이전트7(임희윤 기자)이 중얼거렸다.

○ 팔리는 저항, 우리는 속은 걸까

체 게바라의 초상이 대량 생산되는 현실. 돌아보니 미니스커트, 장발, 비키니, 록, 힙합, 서태지…. 다 잘 팔렸다.

“대량 생산, 대량 소비 사회에서 남과 다른 뭔가를 추구하는 욕구를 저항문화가 충족시켜 왔다는 것이죠. 소비적 자본주의 질서에 항거하는 반문화가 도리어 진정한 자본주의 정신을 반영한다는 역설입니다.” ‘혁명을 팝니다’의 저자 조지프 히스, 앤드루 포터의 주장이다.

해답을 찾지 못한 두 요원, 본부 인근 음반가게로 향했다. 진열대에서 둘의 손끝은 너바나, 밥 말리,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을 지나 미끄러졌고 끝내 AOA와 I.O.I에 닿아 멈췄다. “이걸로 계산해주세요.”(다음 회에 계속)
 
김윤종 zozo@donga.com·임희윤 기자
#저항#방탄소년단#저항문화#아이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