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이슈]‘구미호’ 고소영 변신장면서 첫 등장… ‘해운대’선 50억 들여 쓰나미 연출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한국영화 CG변천사

국내에서 컴퓨터그래픽을 처음 사용한 영화 ‘구미호’ (1994년). 인터넷 화면 캡처
국내에서 컴퓨터그래픽을 처음 사용한 영화 ‘구미호’ (1994년). 인터넷 화면 캡처
시각효과로도 불리는 컴퓨터그래픽(CG)이 한국 영화 속에 녹아들기 시작한 지도 20년이 넘었다. 최근 영화에서는 CG로 와이어(배우를 매단 줄) 지우기, 과거의 장소 재현, 우주 공간 등이 구현되며 비중도 커지고 있다. 한국 영화 속 CG는 그동안 얼마나 성장했을까.

CG가 처음 등장한 영화는 ‘구미호’(1994년)다. 여주인공 고소영이 여우로 변신하는 장면이 CG로 만들어졌다. 이 영화에는 하나의 형체가 다른 이미지로 변하는 모핑 기법의 CG가 쓰였다.

‘구미호’가 CG의 문을 열자 다른 영화들도 나왔다. 이전 영화에서는 CG 분량이 1∼2분에 불과했지만, ‘한국형 블록버스터’라는 광고 문구를 쓴 ‘퇴마록’(1998년)에는 현암(신현준)의 무기인 월향검 비행 장면 등에 8분 분량의 CG가 들어갔다. ‘쉬리’(1998년)에서 CG로 구현된 고층빌딩 폭파 장면, 도심 총격전 장면 등은 당시 관객을 놀라게 할 만큼 진일보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CG가 영화 속 보조자의 수준을 넘어서는 영화가 쏟아졌다. 가상현실이 구현된 ‘성냥팔이소녀의 재림’(2002년)에는 40여 분 분량의 CG가 들어갔다. ‘2009 로스트 메모리즈’(2001년)의 주 배경이었던 일제 통치하의 2009년 조선의 경성도 CG를 통해 완성됐다. ‘태극기 휘날리며’(2003년)에서는 팔다리가 잘려나간 군인들, 피란민의 행렬과 인해전술을 펼치는 중공군의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졌다.

2000년대 중반은 CG 기술이 한층 발전한 시기다. ‘중천’(2006년)에서는 실제 배우의 외모로 동작을 대신하는 ‘디지털 액터’가 CG로 구현돼 주인공 정우성의 액션 대역을 맡았다. ‘디워’(2007년)에는 총 3800컷의 CG가 사용됐다.

누적된 한국 영화의 CG 기술력은 이후 ‘할리우드급’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빛을 발하고 있다. ‘해운대’(2009년) 제작진은 CG 작업에만 약 50억 원을 투입해 지진해일(쓰나미)이 부산을 덮치는 장면을 만들었다. ‘타워’(2012년)는 총 3000컷 중 1700컷이 CG로 만들어져 한국 영화 사상 CG 비율이 가장 높았다. ‘명량’(2014년)의 왜선 330여 척이 떠있는 1597년의 울돌목, ‘히말라야’의 칸첸중가 정상도 CG를 통해 관객의 눈앞에 펼쳐졌다.

김배중 기자 wanted@donga.com
#구미호#cg#해운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