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갑식 기자의 뫔길]요즘 밥값은 하고 사십니까?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8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스님들의 발우공양을 표현한 이미지. 불교신문 제공
스님들의 발우공양을 표현한 이미지. 불교신문 제공
최근 불교계 뉴스를 둘러보다 한 광고에 눈길이 멈췄습니다. ‘공양주(供養主) 보살을 구한다’는 내용입니다. 공양주 보살은 사찰이나 규모가 작은 암자에서 음식을 만들어주는 분이죠. 큰 절에서는 이분들을 만나기 어렵지만 암자의 경우 손수 음식을 내오는 경우도 있어 짧은 대화도 나누게 됩니다. 언젠가 60대 보살에게 “절집 생활이 외롭거나 힘들지 않으냐”고 묻자 “그래도 여기가 맘이 편하다. 부처님 떠나 있으면 몸도 마음도 불편하다”는 답을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공양주 보살 중에는 절집 음식을 책임지면서 수행도 하는 분이 적지 않습니다. 손맛뿐 아니라 촌철살인(寸鐵殺人)의 입담을 지닌 보살에 관한 일화도 전해집니다.

그런데 요즘 세상이 바뀌면서 공양주 보살을 구하기 어려워진 모양입니다. 몇몇 스님들에게 귀동냥을 하니, 규모가 있는 사찰의 공양주 보살은 한 달에 100만∼150만 원 정도를 받는다고 하네요. 기거하는 이가 서너 명밖에 안되는 암자는 보수라는 개념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절집에서 만나는 ‘공양게(供養偈)’는 종교를 떠나 한번쯤 음미해 볼 만한 내용입니다.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고/내 덕행으로는 받기가 부끄럽네/마음의 온갖 허물을 모두 버리고/육신을 지탱하는 약으로 알아/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기독교로 치면 일종의 식사 전 기도죠. 평소처럼 무심코 수저를 들다 이 구절을 보면서 정신이 번쩍 들었던 적도 있습니다. 네 눈앞 이 음식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아느냐! 이 음식을 먹을 만큼 밥값은 하며 살고 있느냐! 공양주 보살 또는 누군가의 불호령처럼 들렸습니다.

망각의 인간인지라 그 기억은 차츰 사라졌습니다. 그러다 5년 전 제대로 밥값하고 있느냐는 ‘죽비’가 다시 어깨에 딱 소리를 내며 떨어졌습니다.

정호승 시인의 시 ‘밥값’입니다. ‘어머니/아무래도 제가 지옥에 한번 다녀오겠습니다/아무리 멀어도/아침에 출근하듯이 갔다가/저녁에 퇴근하듯이 다녀오겠습니다/…/지옥도 사람 사는 곳이겠지요/지금이라도 밥값을 하러 지옥에 가면/비로소 제가 인간이 될 수 있을 겁니다’

한 구절 한 구절 꼭꼭 씹었습니다. 밥값 때문에 지옥까지 갔다 와야 하느냐는 불만도 있었지만 마음속에 공명의 동심원이 퍼졌습니다. 중년이라면 쉽게 다가오는 지난 삶에 대한 반성이겠죠. 아, 그래 밥값도 제대로 못하고 또 허송세월했구나, 이런 자책도 따라왔습니다.

얼마 전 안부도 전할 겸 전화로 정 시인에게 “요즘 밥값은 하시느냐”고 물었더니 “나야 좋은 시 쓰는 게 밥값인데, 아직 먼 것 같아요. 하지만 밥값 다하고 사는 사람 어디 있겠어요? 그래도 하는 시늉은 해야죠”라고 하더군요. 순간, 마음 한구석에 엉큼한 안도의 미소가 번지더군요, 저만 밥값 못하고 사는 게 아니라는.

가깝게 지내는 한 스님이 귀띔하더군요. 전남 순천 송광사 공양간을 오랫동안 책임지고 있는 고흥댁의 음식과 말솜씨가 일품이라고요. 여름 가기 전 송광사를 찾아 밥값의 지혜를 청하려고 합니다.

김갑식 기자 dunanwor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