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청두시 ‘외국인 항일열사 추모전’에 韓人 전투비행사 2명 포함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5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日 역사왜곡에 맞선 공동대응 포석?
전상국 열사는 中 공군 중위 임관… 32회 작전 수행
김원영 열사는 美 훈련뒤 중미 연합부대서 복무

중국 난징의 항공열사공묘에 있는 전상국과 김원영의 추모비. 이 묘소에 이름을 올린 160명의 중일전쟁 참전 조종사 가운데 한국인은 두 사람뿐이다. 이윤식 작가 제공
중국 난징의 항공열사공묘에 있는 전상국과 김원영의 추모비. 이 묘소에 이름을 올린 160명의 중일전쟁 참전 조종사 가운데 한국인은 두 사람뿐이다. 이윤식 작가 제공
《 중국 쓰촨(四川) 성 청두(成都) 시가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아 개최하는 외국인 항일열사 추모 특별전에 한국인 전투비행사 2명이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끈다. 7월 7일부터 청두 당안국(기록보관소)이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아 여는 ‘동맹자-외국인의 청두에서의 항전기록(同盟者-外籍人士在成都的抗戰記錄)’ 전시다. 당안국의 보관 자료를 중심으로 항일 투쟁을 한 외국인들을 조명하는 행사인데, 이 중 한국인 전상국(1908∼1938), 김원영(1922∼1945)이 포함된 것. 난징(南京) 항공열사공묘(航空烈士公墓)에는 두 사람의 추모비도 마련돼 있다. 중국의 항일열사 추모전에 한국인 전투비행사가 선정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이번 행사는 일본의 역사왜곡에 맞서 한중이 함께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과 맞물려 주목된다. 이에 앞서 지난해 7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중국의 승전 70주년과 한국의 광복 70주년을 공동으로 기념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청두 당안국(기록보관소)의 7월 전시 대상으로 선정된 전상국(위 사진)과 김원영(작은 사진)의 생전 모습. 아래는 일본 비행학교에 보관된 전상국의 학적부. 이윤식 작가 제공
청두 당안국(기록보관소)의 7월 전시 대상으로 선정된 전상국(위 사진)과 김원영(작은 사진)의 생전 모습. 아래는 일본 비행학교에 보관된 전상국의 학적부. 이윤식 작가 제공
청두시 특별전의 주인공인 전상국 김원영은 일제강점기 중국으로 망명해 1930, 40년대 전투기 조종사로 일본에 맞섰다. 당시 일본은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킨 뒤 전투기인 ‘제로기’를 동원해 중국 공군을 괴멸 직전까지 몰고 갔다. 중국은 1943년부터 미 공군과 연합 작전을 벌인 뒤에야 가까스로 제공권을 되찾을 수 있었다.

전상국은 1908년 황해도 신천군에서 태어났다. 1930년대 초반 일본 제1비행학교를 졸업하고 중국으로 건너갔다. 1931년 중앙항공학교를 거쳐 1935년 9월 중국 공군 중위로 임관했다. 1937년 난창(南昌) 1군구사령부 1중대 부대장에 오른 전상국은 공중수송 17번과 적기 요격임무 15번을 완수했다. 하지만 1938년 8월 21일 한커우(漢口)에서 청두로 이동하던 도중 비행기 고장으로 서른 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960년 대만 공군이 발행한 공군충열록은 그에 대해 “성격이 침착하고 끈기가 있으며 과감했다. 싸울 때마다 용기를 내 항상 앞장섰다”고 기록했다.

김원영은 같은 황해도 출신으로 중국 공군 군관학교를 16기로 졸업한 뒤 1935년 김구 선생이 난징에서 조직한 독립군 특무대에서 활동했다. 그는 1944년 미군 비행훈련을 받고 중미 연합 항공부대에 배치됐다. 김원영은 일본 대공포에 항공기가 피격되자 낙하산으로 탈출한 뒤 강을 헤엄쳐 부대에 돌아올 정도로 강한 정신력과 체력을 갖고 있었다. 그는 중일전쟁 말기인 1945년 3월 24일 기기 고장으로 추락해 순국했다.

난징 항공열사공묘에 이름을 올린 160명의 중일전쟁 참전 비행기 조종사 가운데 한국인은 전상국과 김원영뿐이다. 그러나 적지 않은 한국인 비행사들이 중국 공군에서 일본과 맞섰다. 한국 최초의 비행사인 안창남은 중국의 타이위안(太原) 비행학교 교관으로 활동했다. 서왈보는 중국의 펑위샹(馮玉祥) 군벌 휘하에 들어가 항공대를 만들었고, 한국의 첫 여성 비행사인 권기옥은 윈난(雲南) 육군항공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공군에서 전투기 조종사로 복무했다.

한시준 단국대 교수는 “20명가량의 한국인 조종사가 중국에서 일본과 맞섰다”며 “한중 학계가 양국의 공동 항일투쟁사 연구 차원에서 이들의 행적을 제대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