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정성희]바다로 돌아간 제돌이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7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대공원에서 돌고래쇼를 하던 남방큰돌고래 제돌이가 야생적응훈련을 마치고 춘삼이와 함께 18일 바다로 돌아갔다. 제돌이와 춘삼이, D-38(일명 삼팔이) 등 돌고래 세 마리는 2009년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앞바다에서 포획돼 돌고래쇼 공연업체 ‘퍼시픽랜드’에 팔렸다. 서울대공원은 바다사자 두 마리를 주고 제돌이를 들여와 쇼를 해왔는데 박원순 서울시장이 동물보호단체 주장을 받아들여 제돌이를 방류한 것이다. 제돌이 방류에는 서울시 예산 7억5000만 원이 들어갔다.

▷제돌이 방류는 불법 포획한 제돌이를 장물로 판단한 대법원 판결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남방큰돌고래가 멸종위기종이라는 점도 고려됐다. 그러나 이미 야생의 습성을 잃은 데다 쇼를 통해 관람객에게 큰 기쁨과 관광수입을 안겨준 제돌이를 방류한 게 과연 옳으냐는 논란은 여전하다. 논란은 동물복지, 동물원의 존폐, 동물쇼의 기능, 사람과 동물의 관계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사실 동물원과 동물쇼는 근대의 산물이다. 1752년 오스트리아 빈 쇤브룬 궁에서 프란츠1세가 부인인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를 위해 기린 얼룩말 코끼리 등 이국적인 동물을 길렀던 것이 기원이다. 사람, 특히 특권계층에 이국적 풍물을 제공하는 게 동물원과 동물쇼의 목적이었다. 최근 들어 동물은 사람의 구경거리가 아니고 그 자체로 자연의 일부라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유럽과 남미 등 많은 나라가 돌고래장 건립을 불허하고 있다. 물론 동물쇼에 찬성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동물쇼는 어린이에게 동물과 자연에 대한 관심을 갖게 만드는 교육적 효과가 크다는 주장이다.

▷엄청난 예산을 쓸 만큼 방류가 가치 있는 일인가. 제돌이가 건강하게 야생에 적응할 것인가. 돌고래장에 남겨진 다른 돌고래와 새끼들, 동물쇼에 동원되는 다른 동물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 인간과 고래의 우정을 그린 시리즈 영화 ‘프리 윌리’(1994년 첫 개봉)는 인간의 탐욕에 고통을 받긴 하지만 주된 스토리 라인은 그래도 따뜻하다.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는 인간의 따뜻함을 느꼈을까. 그조차도 의문만 있고 대답은 없다.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제돌이#돌고래#춘삼이#남방큰돌고래#동물쇼#동물보호단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